무슨생각하고 사는지?/내집마련기

[내집마련기 ③] 서울에 2억으로 아파트 매매시 기준세우는 법

방구석 조색사 2025. 4. 15. 11:30

우리 부부의 현금 자산은 2억. 수중의 현금은 2억이 전부다.

이 돈으로 실거주 할 서울의 아파트를 산다?

 

터무니 없는것 같지만, 어차피 전세로 가도 대출을 받아야하는걸.

남편은 늘 안된다고만 했다. 외벌이로 대출금 어떻게 값을꺼냐고.

그때가 집값이 저멀리 가버린 코로나 시국이었다.

아이를 계획하기도 했고, 직장생활에 골병이 들어 퇴사한 뒤 소득이 없었던 나는
평생 집은 못살 것 같다는 접어들었는데...


인스타 알고리즘의 수혜로 1억을 대출받으면 4%금리조건일 때 월 50만원을 내면된다는 요약문을 보게된다.

대출금으로는 7만원을 내고 있었고 기존에 반전세 개념으로 내던 관리비 명목의 돈은 20만원이었다. 

 

서울 아파트 값이 평균 6~7억은 되는데...

불가능 할 것 같지만, 대출이라는 제도가 있기에 전세라는 선택지도 제외시키기로 한다.

갭투자도 제외, 다들 경매 열풍이지만 우리부부는 실거주 목적이라 과감히 포기
한달에 100만원 아르바이트로 돈을 벌까 말까한 나의 소득 요건을 생각하면 대출은 2~3억사이로 좁혀진다.

 

✅ 스탭1. 매매가 상한선 : 빚으로 빚을 산다

아마트 매매가 : 4억 8천 ~ 5억 3천
원금 : 2억
대출 : 3억

 

 

 

 

네이버 부동산에 조건에 맞는 집을 검색했다. 
매물을 보고, 원하는 지역 특정 매물을 보고 부동산에 연락해서 토요일에 볼 수 있는 물건들을 보러 다녔다.
실제로 어떤지 발품을 팔아보니 거주지역도 정해졌다.

25년도 상반기 기준 4억 후반~ 5억 초반이면서, 실평수 24평, 7호선 강남권 출퇴근 할 수 있는 지역이

자동으로 추려졌다.


  스탭 2.
지역 선정 TOP 3

📍 기준 : 4억 후반~ 5억 초반이면서, 실평수 24평, 7호선 강남권 1시간 ~ 1시간 20분 내외 출퇴근 가능 지역 

1. 중랑구 신내동 (6호선 신내역)

 

2. 노원구 상계동 은빛아파트 (7호선 수락산역)


3.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포레파크원 (수인분당선 청명역) 

 

 

  스탭3. 대중적 아파트 물건 고르는 법

대중적으로는 선호도가 높은 아파트 기준은 다음으로 추려진다.

 

1. 세대수

2. 조망권

3. 개발관련 호재

4. 강남권 접근성 (출퇴근 인접성)

5. 가격 (내 형편에 맞는 가격 or 영끌)

6. 주변 상권 및 인프라 


그러나, 현실적인 가격의 아파트에는 극명하게 포기해야 할 것들이 생긴다.

다음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