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수준은 운동과, 건강관리의 지표이기도 하다.
그를 뒷받침하는 근거들은 무수히 많고 아래 기사들을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1. 소득 수준과 운동 실천율의 관계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걷기,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등 다양한 신체활동의 실천율이 높게 나타났다.
✅ 걷기 실천율: 소득 상위 그룹은 49.2%, 하위 그룹은 39.1%로, 10.1%포인트 차이가 있었다.
✅ 유산소 운동 실천율: 소득 상위 그룹은 57.2%, 하위 그룹은 48.3%로, 8.9%포인트 차이가 있었다.
✅ 근력 운동 실천율: 소득 상위 그룹은 32.8%, 하위 그룹은 21.4%로, 11.4%포인트 차이가 있었다.
(출처: 윗 글 클릭시 원문으로 이동)
이러한 격차는 2014년 대비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소득 수준과 운동 비용 지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신체활동을 위해 비용을 지출한 비율은 생계급여 수급자(3.2%)보다 미수급자(21.9%)가 훨씬 높았다.(출처)
또한, 데이터스프링 코리아의 조사에 따르면, 30대, 40대, 60대 남성과 20대 여성의 운동 비용 지출이 다른 연령대 대비 상대적으로 높았다.
(출처)
데이터스프링 코리아, 운동, 건강, 행복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진행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우리나라 국민은 어떤 운동을 하며, 신체/정신/경제/사회적 관계에서 얼마나 건강할까? 그리고, 얼마나 행복할까? 시장조사 전문 기관인 데이터 스프링 코리아
news.nate.com
3. 소득 수준과 건강수명의 차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소득 상위 20%의 건강수명은 74.88세, 하위 20%는 66.22세로, 8.66년의 차이가 있었다. 이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한 삶을 더 오래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출처)
'나 성장일기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계발] 📘 대한민국 헌법 전문 PDF 파일 다운로드 (제7장~10장) (0) | 2025.05.12 |
---|---|
[자기계발] 📘 대한민국 헌법 전문 PDF 파일 다운로드 (제4장~6장) (0) | 2025.05.12 |
[자기계발] 📘 대한민국 헌법 전문 PDF 파일 다운로드 (제1장~3장) (0) | 2025.05.12 |
[부자의 멘탈관리.1] 나만의 부자 정의 (부자선언) (0) | 2025.05.12 |
[자기계발] 📘 대한민국 헌법, 무료로 필사하는 법 (4)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