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진짜다. 하루 방문자가 2명인 티스토리에 수익이 발생했다. 로그인하자마자 보이는 방문자 통계란 아래에서 수익 발생 내용을 볼 수 있다. 너무 귀엽고 소중하게도 0.01 달러. 광고가 잘 돌아가고 있다는 유일한 피드백 이기에 너무나 소중하다. 원화로 환산하면 13원 :) 캐시워크 포인트로는 몇 걸음을 걸어야하는진 감도 안온다.
중간점검 차 광고 설정페이지를 보니, 생각보다 많은 구간에서 광고가 노출되고 있었다. 수익 설정하는 과정에서 뭘 셋팅하고 뭘 꺼야하는지 잘 몰랐는데, 어찌 저찌 오만갓 것을 다 켜보거나 꺼보면 알 수 있다. 그래서 중간 과정을 기록 할 수가 없다는 점 :) 기억을 되짚고, 타 블로그를 검색해서 [수익화 블로그 셋팅]을 주제로 포스팅 올려봐야겠다.
본문내용이 짧으면 광고구역은 5개, 많아도 너무 많다 아래 예시를 보면 이해가 될까?
적용화면이 아마 이 포스팅을 읽고 있는 화면 일 듯 하다.
블로그라는 공간이 구독자가 많다거나, 커뮤니키처럼 지속적으로 관계를 쌓아 블로그 수익에 효과적인지는 모르겠지만 블로그는 양질의 콘텐츠를 작성할 수록 블로그가 상단 노출되기는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콘텐츠 질보다, 광고를 최대한 많은 부분에 노출하면 클릭빈도는 높을 지도 모르지만, 정성들여 쓴 글 아무도 안읽고 이탈한다면 들인 시간은 무슨소용이겠냐는 거다. 양보다 질을 놓치지 않아야 네이버 블로그 처럼 신뢰성을 잃는 일은 없을 것이다.
반응형
'디지털노마드로 살아보자 > 생산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입일기] 카카오 애드핏 매체심사 보류 (광고설정하는 법) (0) | 2025.05.19 |
---|---|
[생산성] 티스토리에 무작위 스팸 댓글을 방치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5.05.14 |
필독! 6월부터 차단당하는 티스토리의 에드센스 규제! (앵커광고 삭제하는법) (2) | 2025.05.14 |
도식화 AI 강자는 누구? (챗GPT / 감마 / 나킨) 비교 (0) | 2025.04.14 |
프로필용 파비콘(ICO) 파일 한 번에 100KB로 변환하는 법 (0) | 2025.03.04 |